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마케팅5c
- 5forcesmodel
- 고객가치전달
- 4p전략
- 4P
- 가격조정전략
- bcg분석
- 마케팅핵심요소
- 고객가치
- 시장분석
- 마케팅믹스
- 가격전략
- 3C분석
- 제품수명주기
- 소비재
- STP전략
- 고객가치기반마케팅
- 공동브랜드
- 가격결정에영향을주는요인
- 목표시장선정
- 마케팅전략
- 마케팅포지셔닝
- 가격결정전략
- 가격결정방법
- 혁신수용곡선
- 스테이지게이트과정
- 마이클포터
- 마케팅
- stagegate
- 신제품개발
- Today
- Total
목록마케팅 일반 (11)
헤더의 N잡 세상
기업내부준비 : 제품 & 가격 가격 (Price) : 고객이 제품 또는 서비스를 사용하면서 얻는 혜택의 대가로 지불하는 가치 제품의 생산, 판매촉진과 같은 마케팅 믹스는 비용을 발생시키지만, 가격은 기업이 고객으로부터 가치를 획득하는 경로 다른 마케팅믹스에 비해 즉각적인 변경이 가능한 유연성 경쟁에 제일 민감 가격 결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 1.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요인 : '소비자가 제품에 대해 어느 정도의 가치가 있다고 판단하는가'에 따라 가격탄력성이 결정된다. 수요법칙과 수요의 가격탄력성에 따라 제품의 가격이 변화하면 판매량이 얼마나 변화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수요법칙(law of demand) : 소비자들이 제품의 가격이 낮아질수록 더 많은 양의 제품을 구입한다. 수요의 가격탄력성(..
기업내부준비 : Product & Price (제품과 가격) 제품 (Product) (기업이 제공하는 서비스도 포함한다) 제품의 3단계 제품은 3단계로 구분이 가능하다. 1. 핵심 편익 (core benefit) : 고객이 제품이나 서비스를 소비함으로써 얻고자 하는 가장 기본적인 필요나 욕구 2. 실제 제품 (actual product) : 고객의 필요나 욕구를 실제의 제품으로 전환한 단계. 제품 디자인, 패키팅, 브랜드명 개발이 포함된다. 3. 제품의 확장 : 실제 제품을 지원하기 위한 추가적 속성이나 편익. 사용법 안내나 신속한 A/S가 포함된다. 제품의 종류 제품은 크게 유형제품과 무형제품(서비스)로 나누는데, 유형제품은 다시 아래와 같이 나눌 수 있다. 1. 소비재 : 최종소비자들이 자신들의 소비..
신제품 개발 과정을 프레임워크(framework)라고 하고 세부적인 절차를 스테이지-게이트 과정(Stage-Gate Process)이라 한다. Stage-Gate 5단계 : 밥 쿠퍼에 의해 연구된 신제품 런칭을 위한 신제품 개발 관리 시스템 Stage는 개발업무를 수행하는 프로세스 단계로 실제 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 Gate는 스테이지 단계에서 진행된 사항을 검토하여 현재이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시킬지, 아니면 보류할지, 중단할지 결정하는 관문같은 역할을 함 1. 아이디어 수집 및 선별 (Idea Generation and Screening) 새로운 상품 아이디어를 구상하는 단계. 첫 번째 목표는 가능한 한 많은 수의 신제품 아이디어를 만드는 것이고, 두 번째 목표는 여러 가지 아이디어 중 좋은 아이디어..
지난 포스팅에서는 신제품 개발의 의미를 알아보고 간략히 그 순서에 대해 정리해보았다. 이 포스팅에서는 신제품의 의미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고 그 관리 전략까지 정리해 보려고 한다. 신제품이란? 첫번 째 기준 : 기업의 관점과 소비자의 관점으로 구분 1. 혁신적인 제품 : 완전히 새로운 신제품으로 이전에 존재하지 않았던 제품. 신제품의 5~10% 정도를 차지 2. 개량적 신제품 : 기업, 또는 소비자의 관점에서 이미 존재하는 제품. 기존 제품을 수정 개량한 제품. 신제품의 거의 80%정도가 해당 3. 자사입장의 신제품 : 시장에 출시된 제품을 자사가 후발업체로서 출시하는 제품 두번째 기준 : 기업 성장전략의 일환으로서 제품개발전략과 신제품의 정의를 연결한 구분 1. 제품특성의 추가 : 새로운 제품특성을 ..
STP전략 시장을 세분화하고(Segmentation) 목표시장을 선정(Targeting) 고객에게 인지시킨다(Positioning) 지난 포스팅에서는 STP전략에서의 시장세분화 과정을 알아보고 목표시장 선정이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아래에서는 목표시장 선정시 고려할 요인, 목표시장 도달 전략에 대해 더 정리하고, 포지셔닝, 그리고 가치창출과정의 2번째 방법인 신제품 개발 과정까지 정리해보았다. 목표시장 선정(Targeting) 2. 목표시장 선정시 고려할 요인 세분시장 규모 : 시장의 상대적/절대적 크기 세분시장 성장률 : 미래의 잠재력 평가 제품수명주기 : 제품수명주기 분석을 통한 시장규모 및 경쟁강도 현재의 경쟁자 : 현재의 경쟁강도 및 자사의 경쟁우위 잠재적 경쟁자 : 잠재적 진입 기업 기업의..
고객가치창조 (Value Creation) 고객의 가치 : 효용과 편익 효용 : 인간의 욕망을 만족시키는 재화의 능력 또는 재화를 소비함으로써 얻는 개인의 주관적 만족의 정도 편익(Benefit) : 자신이 지불한 비용으로 얻게 되는 만족감을 금전화한 개념. 편익은 자신이 지불한 비용으로 얻게 되는 만족감을 금전화한 개념을 말한다. 동일한 재화나 서비스를 이용해도 개인의 기호와 상황에 따라 만족감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고객 가치 극대화는 고객이 가지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고 재무적 위험을 감수하고 얻는 효용이 가장 큰 경우이다. 고객가치 창조과정이란 기존 제품으로는 충족 시켜주지 못하는 고객의 가치를 찾아내고 이를 기업이 가진 역량과 자원으로 새롭게 가치를 창조하는 과정이다. 그 과정에는 STP전략과 ..